Fourteen Points

14개조 평화 원칙(Fourteen Points)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에 쓰인 평화원칙 선언이다. 이 원칙은 1918년 1월 8일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이 국회 연설에서 밝혔다. 유럽인들은 대체로 환영했으나 핵심 협상국 동료들(클레망소, 로이드 조지, 비토리오 오를란도)은 윌슨 이상주의의 적용 가능성에 회의적이었다. 무제한 잠수함 작전과 치머만 전보 때문에 미국은 1917년 4월 6일 동맹국에 대항해 협상국으로 참전했으나 윌슨은 오래 지속되는 유럽 열강들 사이의 긴장에 관여하길 피하고 싶었고 참전하더라도 내셔널리즘 갈등 및 야망과는 또다른 문제로 보고 싶어했다. 볼셰비키가 협상국 사이의 비밀조약들을 공개한 후 도덕적 목표에 대한 요구는 더 중시됐다. 윌슨의 연설은 많은 국내 진보주의 이념들을 낳았고 외교정책(자유무역, 공개조약, 민주주의, 자결권)으로 이어졌다. 사흘 전 영국 총리 로이드 조지가 영국의 전쟁 목표에 대한 연설을 했다. 이는 윌슨의 연설과 다소 비슷했지만 추축국 보상을 제안했고 오스만 제국 비터키 대상들에 대한 약속이 더 모호했다.

Fourteen Points

14개조 평화 원칙(Fourteen Points)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에 쓰인 평화원칙 선언이다. 이 원칙은 1918년 1월 8일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이 국회 연설에서 밝혔다. 유럽인들은 대체로 환영했으나 핵심 협상국 동료들(클레망소, 로이드 조지, 비토리오 오를란도)은 윌슨 이상주의의 적용 가능성에 회의적이었다. 무제한 잠수함 작전과 치머만 전보 때문에 미국은 1917년 4월 6일 동맹국에 대항해 협상국으로 참전했으나 윌슨은 오래 지속되는 유럽 열강들 사이의 긴장에 관여하길 피하고 싶었고 참전하더라도 내셔널리즘 갈등 및 야망과는 또다른 문제로 보고 싶어했다. 볼셰비키가 협상국 사이의 비밀조약들을 공개한 후 도덕적 목표에 대한 요구는 더 중시됐다. 윌슨의 연설은 많은 국내 진보주의 이념들을 낳았고 외교정책(자유무역, 공개조약, 민주주의, 자결권)으로 이어졌다. 사흘 전 영국 총리 로이드 조지가 영국의 전쟁 목표에 대한 연설을 했다. 이는 윌슨의 연설과 다소 비슷했지만 추축국 보상을 제안했고 오스만 제국 비터키 대상들에 대한 약속이 더 모호했다.